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에서 기초과학의 매력을 미술계와 대중에게 전하고자 “큐비트”라는 주제로 미술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본 공모전은 저희 연구단의 주요 연구 주제인 양자컴퓨터의 큐비트와 양자역학(Quantum)을 과학을 어려워하는 일반인에게 창의적으로 소개하기 위해서 기획되었습니다.

 

공모 주제: 양자컴퓨터의 큐비트 또는 양자역학

큐비트는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는 양자컴퓨터의 핵심 기술입니다. 양자 분야에서 이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해 배우고 예술로 표현해 보세요.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공모 주제를 설명하는 해설 글을 두 편과 만화를 준비하였습니다.

과학자편: 큐비트가 뭐예요?

저자: 마신 캘라이 박사후과정 연구원(Dr. Massine Kelai, 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

양자컴퓨터를 이루는 큐비트의 탄생 배경과 대표적인 성질을 소개합니다. 큐비트에는 스핀, 중첩, 얽힘 등의 개념이 이용되는데 일상에서는 보지 못하는 신기한 현상들입니다. 이는 큐비트가 있는 곳이 양자역학의 지배를 받는 세상이기 때문입니다. 이 신비한 양자의 세계를 본 해설 글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양자컴퓨터 분야를 창시한 중요 과학자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예술가편: 예술로 표현되는 양자 현상

저자: 폴 토마스 교수(Prof. Paul Thoma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rt & Design)
양자역학은 누구도 상상조차 못했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었습니다. 기존 관념을 뒤집는 혁명적인 이론이었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발전시킨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수십 년간 뜨거운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흥미롭게도 미술계에서 이 새 시대의 흐름을 다양한 방면으로 흡수하였습니다. 20세기, 과학과 예술, 그리고 인류가 서로를 만났던 현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만화: 양자나라 이웃나라

저자: 노경주 석박사통합과정(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
양자컴퓨터의 큐비트는 ‘스핀’이라는 양자역학적 성질을 이용합니다. 이 스핀은 불연속성, 중첩, 얽힘 등의 성질이 있고 또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기도 합니다. 본 만화에서는 이 성질들을 귀여운 주인공 캐릭터 ‘스핀이’가 친절하고 재미있게 설명합니다. 







공모 분야

회화,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영상

자격

일반 대중 및 학생 (개인 혹은 팀)

상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상3,000,000 원1 작품
2등2,000,000 원2 작품
3등1,000,000 원2 작품
큐비트 스트리머 유튜브 상2,000,000 원1 작품
※ 시상 내용은 주최측 사정이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공모 주제 해설 강연

제목: 양자와 예술

일시 및 장소: TBA, 이화여자대학교 연구협력관 지하1층 주피터 세미나실

초청 연사: 폴 토마스 교수(Prof. Paul Thoma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rt & Design)

폴 토마스 교수 홈페이지(양자 주제의 다양한 작품 수록)

해설강연 사전등록 필수 (영한 통역 제공)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오픈 랩 (QNS Open Lab)

TBA

이화여자대학교 연구협력관 지하1층 주피터세미나실

랩 투어: 연구단의 최첨단 설비 및 실험 장비 소개

강연: 양자컴퓨터의 탄생과 미래

연사: 장원준 박사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오픈랩 사전등록 필수: 공지 예정

강연장 오시는 방법

지하철 2호선 이대역 3번 출구로 나와서 직진하면 이대 정문이 나옵니다. 정문의 셔틀버스 정류장에서 흰색 셔틀 버스를 탑승하고 종점 연구협력관(산학협력관)에서 하차하면 연구협력관 건물이 보입니다. 연구협력관 지하 1층 주피터 세미나실로 오시면 됩니다. 단, 주황색 셔틀 버스를 타면 안되고 반드시 흰색 셔틀 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참고로, 셔틀 이용 시 이대역부터 연구협력관까지 약 20분이 소요됩니다. 셔틀 배차 간격은 10분입니다. 주차 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주차비(주차권) 지원이 불가하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주요 일정

  • 예선 서류전형 마감: TBA 공모전 홈페이지로 신청서 제출
  • 접수 페이지 링크:
  • 본선 실물 접수 기간: TBA 
  • 수상작 전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2025년 초 예정

 

주최

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참고자료

공모전 주제에 대한 해설 글 및 영상 자료의 다운로드 링크

문의

이메일 art@qns.science

2021년 미술공모전: 스핀 아트

‘스핀 아트’ 미술공모전의 주제는 양자역학에 나오는 스핀입니다. 양자역학은 세상 모든 물질을 이루는 원자나 분자보다도 더 작은 세상을 다루는 학문인데, 이렇게 작은 세상에서는 초현실적인 일이 벌어지곤 합니다. 그중 스핀이란 특정 원자의 질량과 같이 고유 특성 중 하나로, ‘불연속성’, ‘중첩’, ‘얽힘’이라는 독특한 성질들이 있습니다. 이를 예술로 승화한 7개의 수상작을 선보입니다.   



2019년 미술공모전: 양자의 세계

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의 첫번째 미술공모전으로 양자를 대중에게 소개하고 예술로 표현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연구단은 예술가들에게 양자 나노과학에 대해 알려주었고, 예술가들은 이를 토대로 다양하고 새롭게 물리학을 담은 작품을 창작했습니다. 연구단의 연구를 창의적으로 해석해준 예술가들에게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본 홈페이지에서 5개의 수상작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소개

양자의 미래를 설계하다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표면 위 양자 상태에 대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원자 단위 정밀도로 탐구하여 미래 기술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단은 기초과학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새로이 개발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단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에 세계 정상급 시설과 장비를 갖췄으며,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단장의 국제적 리더십 하에 잠재력 높은 인재들과 함께 활발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나노 스케일의 양자 현상과 관련된 기초과학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인내심과 도전 정신을 갖춘 젊은 연구원들을 육성합니다. 연구단은 한국 양자 분야의 차기 리더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양자 나노과학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단 모든 구성원들은 다가오는 양자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의 기초과학 선도하는 기초과학연구원과 뜻을 같이하고 있습니다.